공부

Git - 설치 Ubuntu, 환경설정 및 SSH 등록

낑깡28 2023. 3. 27.

우분투 사용자 기준 Git 설치 방법.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git 패키지 설치가 시작됩니다.

 

$ sudo apt install git

 

완료 후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봅니다.

 

$ git --version

 

Git을 사용하기위한 환경설정

 

우선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합니다. (GitHub 기준)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주소"

 

 

그 다음 커밋 메시지를 기록할 때, 특히 merge commit 확인 메시지가 나올 때 텍스트 에디터가 나옵니다.

기본값으로 텍스트 에디터 vi가 열리는데, vi에 익숙하지 않다면, nano로 변경해줍니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ano

 

SSH 등록

 

SSH는 쉽게 말해서 보안이 강화된 shell 접속을 뜻합니다.

CLI 환경에서 다른 PC에 접속하거나 요청할 때 사용하며, 비대칭키를 이용해 사용자를 인증합니다.

 

SSH 키 생성

 

$ ssh-keygen

 

Enter 부분에서는 고민말고 Enter를 눌러주자.

 

엔터를 3번정도 눌러주면 정상적으로 키가 생성됩니다.

 

이제 키를 등록해보겠습니다.

https://github.com/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

github.com

이제 깃허브에 들어가 자신이 사용하는 계정으로 로그인 해줍니다.

 

 

사진과 같이 자신의 프로필에서 Settings에 들어가줍니다.

 

 

이곳에 들어가줍니다.

 

이후 터미널 창에 들어가서

 

$ cat ~/.ssh/id_rsa.pub

 

를 타이핑하여 공개키를 복사해줍니다.

 

 

복사한 뒤 'New SSH Key' 를 누르고 Key 부분에 붙여넣기 해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