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3 리눅스 실습 - 원격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기 오늘은 원격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기를 공부해 보았습니다. access_count.sh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하여 access.log파일에서 130.237.218.86에 접속한 기록을 필터링해 보기 1. 교육생에게 제공되는 'student.pem' 파일을 웹에서 리눅스로 다운로드합니다. 2. 다운로드한 파일에 권한을 부여해 줍니다. $ chmod 400 student.pem 3. 이제 원격 서버에 접속해 줍니다. 이때 원격 서버 주소는 3.34.229.232, 아이디는 깃허브 아이디를 사용했습니다. $ ssh -i "student.pem" ostarry0728@3.34.229.232 원격 서버에 접속을 성공하면 나타나는 화면입니다. 4. 완료되었다면 'access.log' 파일을 웹에서 리눅스로 다운로드합니.. 공부 2023. 3. 14. 우분투 리눅스 공부 - 기본적인 명령어 (2) 우리는 이전 공부로 CLI 환경에서 폴더나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를 옮기는 방법,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부해 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전 준비 이번에는 폴더와 파일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내용을 공부하기로 하였습니다. 폴더와 파일의 이름을 바꾸고, 위치를 이동하고, 삭제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사용할 폴더, 파일을 추가하겠습니다. $ mkdir hello $ cd hello $ pwd $ mkdir bye $ touch bye.txt $ ls 위 명령어를 이용하여 폴더 hello를 생성하고, 폴더에 새로운 폴더와 파일을 만들겠습니다. rm - 폴더나 파일 삭제하기 명령어 'rm'은 폴더나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명령어 rm의 뜻은 rem.. 공부 2023. 3. 13. 우분투 리눅스 공부 - 기본적인 명령어 (1) 저는 Windows 환경에서 리눅스를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Ubuntu(multipass) 환경에서 공부하였습니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 pwd - 현재 위치 확인하기 $ pwd Windows에서 폴더에 파일을 집어넣고 관리할 때, 탐색기를 열어 바탕화면 폴더나 다운로드 폴더를 열어보는 것처럼 CLI인 터미널에서는 간단하게 pwd 명령어를 사용하여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디렉터리(directroy)는 폴더라고도 합니다. mkdir - 새로운 폴더 생성하기 CLI에서 폴더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mkdi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kdir은 make directroy의 약자로, 폴더를 만들라는 명령어를 컴퓨터에 전달합니.. 공부 2023. 3.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