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Windows 환경에서 리눅스를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Ubuntu(multipass) 환경에서 공부하였습니다.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
pwd - 현재 위치 확인하기
$ pwd
Windows에서 폴더에 파일을 집어넣고 관리할 때, 탐색기를 열어 바탕화면 폴더나 다운로드 폴더를 열어보는 것처럼
CLI인 터미널에서는 간단하게 pwd 명령어를 사용하여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디렉터리(directroy)는 폴더라고도 합니다.
mkdir - 새로운 폴더 생성하기
CLI에서 폴더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mkdir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kdir은 make directroy의 약자로, 폴더를 만들라는 명령어를 컴퓨터에 전달합니다.
$ mkdir HelloWorld
ls -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폴더 확인하기
$ ls
명령어 ls는 list의 약자로, 특정 폴더에 포함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리스트를 출력합니다.
명령어 ls에는 자주 사용하는 옵션 l과 a가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특정 명령어의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를 이용해 옵션을 입력했다고 컴퓨터에 전달합니다.
- ls -l
- ls -a
- ls -al 또는 ls -la
위의 세 번째 예시에서, 옵션을 뜻하는 대시(dash, -) 뒤에 오는 옵션의 순서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명령어 ls의 옵션 a는 "all"이라는 의미입니다. 숨어있는 폴더나 파일을 포함한 모든 항목을 터미널에 출력합니다.
옵션 a와 함께, 자주 사용하는 옵션 l은 폴더나 파일의 포맷을 전부 표현하라는 의미입니다.
저는 이 부분이 조금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따로 공부해봐야겠습니다.
현재 디렉토리를 GUI로 열기
$ open .
이 명령어는 mac OS에서 현재 디렉토리를 GUI로 여는 명령어입니다.
저는 Ubuntu(multipass)를 사용한 가상 컴퓨터로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GUI 환경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분투 운영체제를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한 경우에는 GUI에서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d - 폴더에 진입하기
$ cd HelloWorld
명령어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프롬프트로 상호작용하는 폴더를 다른 폴더로 변경한다는 의미입니다.
앞서 공부한 pwd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마찬가지로 앞서 공부한 ls 명령어를 이용해 HelloWorld 폴더를 확인합니다. 그 다음 cd 명령어를 이용하여 HelloWorld 폴더로 진입합니다.
touch - 파일 생성하기
$ touch hi.txt
파일을 만들기 위해 touch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위의 명령어를 통해 빈 텍스트 파일 "hi.txt"를 생성하세요.
이제 파일에 텍스트를 입력 해보겠습니다. 앞서 생성한 "hi.txt"를 이용합니다.
$ nano hi.txt
저는 GUI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위의 nano hi.txt 명령을 이용하여 편집기를 실행하겠습니다.
이제 텍스트 편집기에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가 유어클래스에 가입된 지메일 주소를 입력하겠습니다.
입력을 완료했다면 Ctrl s 로 저장 후 Ctrl x 로 편집기를 종료하겠습니다.
그러면 편집기 진입 전의 화면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cat - 파일의 내용을 터미널에 출력하기
"hi.txt"파일에 메일 주소를 입력했습니다. 이제 그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cat hi.txt
cat으로 텍스트 파일 "hi.txt"를 출력하면, 방금 작성한 이메일이 출력됩니다
cat은 파일의 내용을 CLI에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
CLI를 통해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익혔습니다. 그렇다면 CLI에서 파일을 수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CLI에서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CLI 전용 텍스트 편집기가 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 글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실습 - 원격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기 (0) | 2023.03.14 |
---|---|
우분투 리눅스 공부 - 기본적인 명령어 (2) (0) | 2023.03.13 |
2023.03.10 표준스트림과 파이프라인, 리다이렉션 (0) | 2023.03.10 |
DevOps 자율학습 정리 (0) | 2023.03.09 |
2023.03.07 공부 및 과제 제출 (0) | 2023.03.07 |
댓글